2013년 6월 27일 목요일

박용주의 ´목련이 진들´ 외


<광주민중항쟁 32주년 특집> 박용주의 ´목련이 진들´ 외

+ 목련이 진들

목련이 지는 것을 슬퍼하지 말자
피었다 지는 것이 목련뿐이랴
기쁨으로 피어나 눈물로 지는 것이
어디 목련뿐이랴
우리네 오월에는 목련보다
더 희고 정갈한 순백의 영혼들이
꽃잎처럼 떨어졌던 것을

해마다 오월은 다시 오고
겨우내 얼어붙었던 이 땅에 봄이 오면
소리 없이 스러졌던 영혼들이
흰빛 꽃잎이 되어
우리네 가슴속에 또 하나의
목련을 피우는 것을

그것은
기쁨처럼 환한 아침을 열던
설레임의 꽃이 아니요
오월의 슬픈 함성으로
한닢 한닢 떨어져
우리들의 가슴에 아픔으로 피어나는
순결한 꽃인 것을

눈부신 흰빛으로 다시 피어
살아 있는 사람을 부끄럽게 하고
마냥 푸른 하늘도 눈물짓는
우리들 오월의 꽃이
아직도 애처로운 눈빛을 하는데
한낱 목련이 진들
무예 그리 슬프랴
(박용주·시인, 1973년 광주 출생)
* 박용주는 1988년 4월에 쓴 이 시로 전남대가 주최한 1988년 ´5월 문학상´을 수상한다. 놀랍게도 그때 그의 나이 15살이었고 전남 고흥 풍양중학교 2학년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더 진한 감동을 주었던 작품이다.
+ 오독

어느 시에서 나는
´화염 속의 내 고향 광주´를
´화엄 속의 내 고향 광주´로
잘못 읽었는데

그렇게 읽길 잘했어

화엄이 무슨 뜻인지는 몰라도
옆에서 죽는 놈 짠하고 불쌍해서
내 목숨 들이붓고 피 뿜는 짓이 있다면
그것이 화엄 아니겄냐?
그것이 불타는 엄숙함 아니것냐?
(홍헌호·시민경제사회연구소 연구위원)
+ 금남로

사랑이 넘쳐흐르는 거리였었다
희망이 잠들지 않는 거리였었다
억눌린 사람들의 정직한 목숨이
공기로 햇살로 빗물로 쏟아지던
오오 하느님 같은 사람으로 넘실대던
낭만이 넘치는 사람의 거리였었다

밝은 그 거리에
사람과 하느님과 모든 생명들이 하나가 된 그 거리에
도깨비 같은 총탄이 쏟아져
사람이기를 포기한 자들의 음모와 욕망이 쏟아져
삶과 죽음이 그토록 가까이 있을 줄이야
하느님과 사탄이 그토록 가까이 있을 줄이야

분수대조차 말라버린 그 거리에는
슬픈 꽃 한 송이도 피지 못하였지만

한 많은 그 오월의 십자로에
스러져간 벗들에 대한
어둡고 긴 기억의 터널을 지나
우리들의 사랑은 또다시 타오르고
무등산 바람은 시퍼런 눈빛으로 다가와
하느님 닮은 사람들 가슴에 청솔을 심어놓는다.
(홍관희·시인, 1959-)
+ 5월의 꽃들이여

이제는 편히 쉬소서
올해도
그때처럼
여전히 아카시아 꽃이
함박 피었습니다

당신의 그 자리에
17살이라는 귀한 자식이
세월에 밀리고 밀려 여기에 섰습니다.

부릅뜬 두 눈 편히 감으시고
이제 빛고을에
살아 숨쉬는 귀한 바람이 되고
들꽃이 되소서

그분은 아실 것입니다
역사의 진실을
역사의 아픔을
사랑으로 싸매어 주시고
만져 주실 것입니다

우리 가슴속에
영원히 활활 타오르는
사랑의 천사가 되어
날아가소서
날아가소서
천사와 함께
용서와 함께
영원히 ……
(심홍섭·시인, 1960-)
+ 5월 - 젊은 죽음을 위하여

잊혀지지 않는 그 어느 해 늦은 봄
5월의 통곡 소리
하늘이 무너졌다네
삼천리 산하
동강난 허리
울음 그칠 날 없었는데
초여름 날 남쪽 하늘 붉은 피 검게
타오르네

민주여 자유여
부르짖던
호남의 뜰 광주의 젊은 넋이여
총칼 앞에 민주의 한을 노래하고
봉오리 꽃피우기 전에 독재의
폭풍 속에
떠나신 님이여

5월 18일 오늘은 잠든 님
그대 영혼은 민주의 들꽃 한 송이
자유의 품으로
활짝 피우겠습니다
님이여 편히 잠드소서
영원한 자유의 종 곱게 꽃피우리라
(장수남·시인, 1943-)
+ 광주에 바치는 노래

1.
그해 5월
광주는 달도 밝았다
호남선 특별열차로
헬리콥터로 떼몰려온 흡혈귀들이
온 시가지를 쑥밭으로 만들 때

2.
광주는 그러나
달도 둥그러이 밝았다
집집마다 거리마다
침략자와 같은 몽유병자들이
피에 굶주려 날뛸 때

3.
그해 5월
광주는 끝없는 바다였다
갈매기가 날으고
돛이 오르고
파도가 나는 바다였다
섬, 섬들도 사람들로 울부짖는

4.
그해 5월
광주는 고독한 십자가였다
학살자들이 황구(黃狗)를 그슬리며
시뻘겋게 웃을 때
신부와 스님들도 잡아가서
부랄이 깨져라고 두들겼을 때

5.
그해 5월
광주는 부러진 십자가였다
발가벗겨 내팽개쳐진 부처의 알몸이었다
그러나 그해 5월
광주는 또 다시 “?번이고
치솟아오르는 불사조!

6.
아아, 그해 5월
광주는 달도 밝았다
사람들의 마음이 강물처럼 흐르고
길가의 가로수도 어깨동무 해주고
사람 세상 통일 세상 강강술래였다

7.
총칼뿐인 악마들이
사방팔방 미친 듯이 들쑤셔도
온 시가지가 보리밭으로 출렁이고
사람들은 서로를 아껴주고
이 땅의 갈 길을 향하여
살과 뼈의 깃발을 흔들었다

8.
아아, 그해 5월 광주는
함께 사는 즐거움이 있었다
함께 쓰러져 죽으면서도
함께 일어나 살고야 마는
하늘 같은 하늘 같은 펄럭임이 있었다
(김준태·시인, 1948-)
+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
죽음과 죽음 사이에
피눈물을 흘리는
우리들의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우리들의 아버지는 어디로 갔나
우리들의 어머니는 어디서 쓰러졌나
우리들의 아들은
어디에서 죽어 어디에 파묻혔나
우리들의 귀여운 딸은
또 어디에서 입을 벌린 채 누워 있나
우리들의 혼백은 또 어디에서
찢어져 산산이 조각나 버렸나

하느님도 새떼들도
떠나가버린 광주여
그러나 사람다운 사람들만이
아침 저녁으로 살아남아
쓰러지고, 엎어지고, 다시 일어서는
우리들의 피투성이 도시여
죽음으로써 죽음을 물리치고
죽음으로써 삶을 찾으려 했던
아아 통곡뿐이 남도의
불사조여 불사조여 不死鳥여

해와 달이 곤두박질치고
이 시대의 모든 산맥들이
엉터리로 우뚝 솟아있을 때
그러나 그 누구도 찢을 수 없고
빼앗을 수 없는
아아, 자유의 깃발이여
살과 뼈로 응어리진 깃발이여

아아, 우리들의 도시
우리들의 노래와 꿈과 사랑이
때로는 파도처럼 밀리고
때로는 무덤을 뒤집어쓸지언정
아아, 광주여 광주여
이 나라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무등산을 넘어
골고다 언덕을 넘어가는
아아, 온몸에 상처뿐인
죽음뿐인 하느님의 아들이여

정말 우리는 죽어버렸나
더 이상 이 나라를 사랑할 수 없이
더 이상 우리들의 아이들을
사랑할 수 없이 죽어버렸나
정말 우리들은 아주 죽어버렸나

충장로에서 금남로에서
화정동에서 산수동에서 용봉동에서
지원동에서 양동에서 계림동에서
그리고 그리고 그리고......
아아, 우리들의 피와 살덩이를
삼키고 불어오는 바람이여
속절없는 세월의 흐름이여

아아, 살아남은 사람들은
모두가 죄인처럼 고개를 숙이고 있구나
살아남은 사람들은 모두가
넋을 잃고 밥그릇조차 대하기
어렵구나 무섭구나
무서워 어쩌지도 못하는구나

(여보, 당신을 기다리다가
문밖에 나가 당신을 기다리다가
나는 죽었어요......그들은
왜 나의 목숨을 빼앗아갔을까요
아니 당신의 전부를 빼앗아갔을까요
셋방살이 신세였지만
얼마나 우린 행복했어요
난 당신에게 잘 해주고 싶었어요
아아, 여보!
그런데 난 아이를 밴 몸으로
이렇게 죽은 거예요 여보!
미안해요, 여보!
나에게서 나의 목숨을 빼앗아가고
나는 또 당신의 전부를
당신의 젊음 당신의 사랑
당신의 아들 당신의
아아, 여보! 내가 결국
당신을 죽인 것인가요?)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
죽음과 죽음을 뚫고 나가
백의의 옷자락을 펄럭이는
우리들의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불사조여 불사조여 불사조여
이 나라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골고다 언덕을 다시 넘어오는
이 나라의 하느님 아들이여

예수는 한번 죽고
한번 부활하여
오늘까지 아니 언제까지 산다던가
그러나 우리들은 몇 백 번을 죽고도
몇 백 번을 부활할 우리들의 참사랑이여
우리들의 빛이여, 영광이여, 아픔이여
지금 우리들은 더욱 살아나는구나
지금 우리들은 더욱 튼튼하구나
지금 우리들은 더욱
아아, 지금 우리들은
어깨와 어깨 뼈와 뼈를 맞대고
이 나라의 무등산을 오르는구나
아아, 미치도록 푸르른 하늘을 올라
해와 달을 입맞추는구나

광주여 무등산이여
아아, 우리들의 영원한 깃발이여
꿈이여 십자가여
세월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욱 젊어져 갈 청춘의 도시여
지금 우리들은 확실히
굳게 뭉쳐 있다 확실히
굳게 손잡고 일어선다
(김준태·시인, 1948-)

* 엮은이: 정연복 / 한국기독교연구소 편집위원

이해인의 ´행복의 얼굴´ 외 "> 이해인의 ´어머니의 기도´ 외 ">